"진전" 자평엔 "돼지에 립스틱 칠하기"
리처드슨 "군부 한 구 7만 달러 돈벌이,
유해 송환은 유족들 위해 선의로 해야"
카자니스 "북미 충돌 경로로 되돌아가"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세 번째 방북 결과를 놓고 미국 언론과 전문가들의 평가는 싸늘했다. 뉴욕타임스는 “폼페이오 장관이 처음으로 1박 2일을 보냈지만 세 번 방북 중 결실이 가장 적은 방북”이었다고 평가했다. 빅터 차 조지타운대 교수는 “폼페이오 장관이 진전을 이뤘다고 했지만 돼지에게 립스틱 칠하기 같은 포장”이라며 “아무 결과도 생산하지 못한 것으로 들렸다”고 말했다.
방북에 동행했던 뉴욕타임스는 7일(현지시간) “폼페이오 장관과 수행단들은 북한이 핵ㆍ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할 의사가 있다는 걸 보여줄 가시적 결과를 얻었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면서 “과거 두 번의 방북과 달리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나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폼페이오 장관은 핵무기 시설에 대한 신고와 비핵화 시간표, 비핵화 정의에 대한 북한의 문서화된 성명 등 미국의 첫 번째 우선순위 가운데 하나라도 얻었느냐는 질문에 상세 답변을 거절했다”고 전했다.
대북 특사로 방북한 적이 있는 빌 리처드슨 전 유엔 대사도 유해 송환 대가와 관련해 미국의 소리 방송과 인터뷰에서 “과거 미국이 북한이 유해 한 구당 7만 달러(약 7800만원)를 지급한 적이 있다”며 “따라서 북한 군부가 외화를 벌어주는 미군 유해 송환을 좋아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리처드슨 전 대사는 하지만 “내가 2007년 방북해 유해 7구를 송환해올 때는 대가를 지불하지 않았다”며 “유해 송환은 돈 문제가 아니라 미국과 희생자 유족을 위해 선의의 제스처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