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지난 19일 산업·고용위기지역인 전북 군산을 방문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비인가 구역까지 들어와 방대한 양을 다운로드 받고 반납하지 않은 것은 중대한 사안”이라며 “이 문제는 사법당국 조사를 통해 명명백백하게 (시시비비가) 가려지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지난 10년 동안 아이디를 활용해 디브레인(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을 이용하신 분이 1400명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지금과 같은 사례는 한번도 없었다”며 “의도적인지는 조사해보면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용진 2차관은 지난 19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심 의원실이) 비정상 방법으로 자료에 접근했다”며 “(심 의원 측에 접속 방식을) 질문했는데 숨겼다. 백스페이스를 두 번 누른 것 자체가 비정상적 작동 방법”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연히 접근해 비인가 행정정보를 다운로드를 해도 위법인지’ 묻는 김광림 한국당 의원의 질문에 “위법 사항”이라고 답했다.
기재부·재정정보원은 20일 오후 보도자료를 통해 “수사 과정에서 밝혀지겠지만, 의원실이 언급한 접근 경로를 통해 유출 자료에 이르려면 의원실 시연과 달리 추가적인 여러 단계가 더 필요하다”며 “이 과정에 권한을 넘어선 자료임과 비정상적 경로임을 인지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수사당국이 정확한 침입 경로와 방법을 밝혀 불법성 여부를 가려야 한다고 판단해 고발 방식을 통해 수사를 요청하기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최상대 기재부 재정혁신국장은 “(백스페이스를 명령어로 사용한 것은) 결과적으로 단순한 동작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시스템 내 정상적인 접근 방법은 아니며 조사가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앞서 심 의원은 지난 19일 오후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김동연 부총리, 김재훈 한국재정정보원장, 그밖에 관련자들을 무고 등의 혐의로 고발했다. 심 의원은 “(행정정보를) 도둑질을 한 게 아니다. 정상적으로 접속해 다운로드 받은 자료”라며 반환을 거부했다. 심 의원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백스페이스를 눌렀더니 새로운 창이 팝업으로 뜨면서 그 자료들이 열렸다. 접근 불가 메시지도 안 떴다. 의정 활동에 필요해 다운로드를 했다”고 설명했다.
◇“압수수색 하라” Vs “기재부 책임”
여야도 팽팽하게 맞섰다. 야당 간사인 윤영석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19일 국회 기재위 전체회의에서 “본질은 정부의 보안관리 부실”이라며 “(정부에)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검찰은 즉시 (심 의원실을) 압수수색 하라”고 촉구했다. 김경협 민주당 의원도 “심 의원은 즉각 기재위원을 사퇴하고 사과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승희 민주당 의원은 “관리 감독이 허술했던 것에 대해 기재부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렇게 양측이 맞서다 보니 이날 기재위 회의는 여야 간 고성이 오가며 파행을 빚다 정회를 하기도 했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4428006619342088&mediaCodeNo=257&OutLnkChk=Y